64deadda0bbc4356efe24069122b303a55ab8543
				
			
			
		
	왜: 서버 스키마와 클라이언트 전용 필드가 혼재되어 혼란을 야기하던 문제를 해결하고,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함. 무엇: - tasks 1.1 수행 (데이터 모델 클래스 생성) - ChatMessage 데이터 클래스 생성 (로컬/UI/도메인용) - MessageStatus enum 생성 (SENDING, SENT, FAILED) - MessageType enum 생성 (USER_MESSAGE, AI_MESSAGE, NOTICE, TYPING_INDICATOR) - CharacterType 기존 enum 재사용 (chat/character/detail/CharacterDetailResponse.kt) - ChatRoomEnterResponse, ChatMessagesResponse 데이터 클래스 생성 - 채팅 메시지 모델 서버-로컬 분리 및 응답 모델 정리 - ServerChatMessage DTO 추가 (서버 응답 전용: messageId, message, profileImageUrl, mine, createdAt) - ChatMessageMappers 추가: ServerChatMessage.toLocal(isGrouped: Boolean = false) - ChatRoomEnterResponse, ChatMessagesResponse에서 messages 타입을 List<ServerChatMessage>로 정리 - 문서 - docs/chat-room-data-models.md 갱신 (서버/로컬 분리 사항 반영) - docs/chat-room-message-model-separation.md 신설 (분리 배경/가이드) 추가 참고: - 시간 포맷 유틸은 후속 태스크(8.1)에서 테스트와 함께 구현 예정
SodaLive - Sound of Demand for Adult
Description
				
					Languages
				
				
								
								
									Kotlin
								
								99.9%